CentOS 설치 후 yum이 안될 때
본문 바로가기
Operating System/CentOS

CentOS 설치 후 yum이 안될 때

by Meenzino 2021. 9. 14.

처음 서버를 설정하고 yum을 사용하려고 할때 yum이 동작을 안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옵션 yum의 URL이 접속이 안되거나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참조할 만한 방법입니다.

/etc/resolv.conf 파일을 확인합니다.

search com 
nameserver 8.8.8.8  //구글
nameserver 168.126.63.1  //KT
nameserver 164.124.101.2 //LG U+

위에 설정은 DNS서버 설정입니다. 제일 첫번째는 구글 주소이고, 두번째는 KT, 세번째는 LG U+입니다.

🔎search 옵션
- 자동으로 찾을 도메인 주소를 입력
- search 옵션으로 지정한 도메인에 대해서는 호스트명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FQDN 으로 인식하여 해당 사이트를 찾습니다.
- 예를 들어 search naver.com 으로 지정해 주면 웹 브라우저에서 www 를 쳤을경우 www.naver.com 으로 인식합니다.

이번에는 yum repository를 설정해보겠습니다.
centos repository는 외국 URL이어서 느리기 때문에 접속 실패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국내 URL을 이용하면 접속이 원활하게 됩니다.

centos7의 repository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에디터(vi, nano등등)을 이용하여 /etc/yum.repos.d/CentOS-Base.repo를 수정하고 centos8의 경우 repository가 나눠져있으므로 AppStream, Base, Extras, centosplus 를 수정하면 됩니다.

(*repo를 수정할때 mirrorlist로 되어있으면 mirrorlist는 주석처리하고 baseurl을 주석해제 해주세요.)
repo 내용 중에 baseurl영역에서 URL주소가 mirrorlist.centos.org로 되어있는 부분을 mirror.kakao.com 또는 mirror.navercorp.com으로 수정해주세요.


설정이 완료된 후에 다시 yum명령어를 사용해보고 그래도 안된다면 reboot 후에 실행해보시길바랍니다.

댓글